본문 바로가기

출간 도서 소개

24. 스프링 6 레거시 프로젝트

[부제]  기본 코스와 프로젝트 코스로 학습할 수 있는 실습서

저자: 구멍가게 코딩단

출판사: 남가람북스

발행일: 2025-08-07

ISBN: 979-11-89184-16-2

가격: 32000

페이지: 488

[저자 소개]

지은이: 구멍가게 코딩단

프로그래밍을 좋아하는, 10년이 훌쩍 넘은 경력의 개발자이자 강사들의 비공개 모임. 강의와 개발을 통해 얻은 지식을 정리하며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 카페(https://cafe.naver.com/gugucoding)에서 독자와 소통하며, 최근에는 기업체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관련 지식을 전파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타트 스프링 부트>,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프로젝트>, <코드로 배우는 리액트>, <RESTful API 서버 구현> 등이 있다.

[책 소개]

이 책은 이론서가 아닙니다. ‘스프링 레거시(Spring Legacy)’를 다루는 실전 훈련서입니다. 국내에서는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영향으로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는 여전히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전별 차이나 체계적인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자료가 부족합니다. 이러한 부족함을 채우려고 만들었으며, 과거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후속작으로 등장한 책입니다.

이 책은 크게 이론을 기반으로 한 실습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습으로 나뉩니다. 이론적인 부분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위한 설정과 목표를 학습하고 간단한 예제를 실습합니다. 기본적인 이론 학습을 마친 후에는 설계와 구현에 집중하는 실습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책의 구성]

PART 1: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PART 1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주요한 기능들을 살펴봅니다. 의존성 주입이나 웹 MVC와 같은 기술입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환경설정이나 데이터베이스 설정 등이 주된 내용입니다.

*   이클립스 혹은 인텔리제이(ultimate) 개발 환경설정

*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의 생성

*   MariaDB의 설치와 설정

*   MyBatis 연동 처리

*   스프링 AOP 적용

PART 2: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ART 2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단일 테이블을 다룹니다. 게시물과 댓글 예제를 주제로 삼아 웹 개발 설계에 필요한 과정을 살펴봅니다. 또한 서버 사이드에서 처리하는 방법과 Ajax를 통해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합니다.

*   게시물 분석과 문서 정리

*   게시물 프로젝트 구현

*   Ajax를 이용한 비동기 처리와 JavaScript 처리

PART 3: 인증 처리와 파일 업로드

PART 3에서는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더 복잡하고 다양한 고민이 필요한 주제들을 다룹니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도 두 개 이상을 함께 다루어야 하는 예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스프링 시큐리티와 파일 업로드 기능도 다룹니다. 스프링 시큐리티의 경우, 스프링 6 버전부터는 Java 기반 설정을 권장하므로 이에 따른 설정 방식도 학습합니다.

*   파일 업로드와 브라우저 내 접근

*   썸네일 처리

*   MyBatis의 <resultMap> 처리

*   스프링 시큐리티 적용

[대상 독자]

*   기존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를 운영하거나 유지보수해야 하는 개발자

*   스프링 부트를 학습하기 전에 더 체계적으로 단계를 밟아 학습하고 싶은 초급 개발자

*   RDBMS를 이용해 Java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

*   데이터베이스에서부터 화면까지 전 과정을 학습하고 싶은 초급 개발자

 [소스코드 확인 및 질문과 답변]

소스코드 확인과 더불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궁금한 사항이 생기면, ‘구멍가게 코딩단카페에 질문하여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카페 주소: http://cafe.naver.com/gugucoding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지금까지도 유지보수 프로젝트에서 널리 활용되는스프링 레거시(Spring Legacy)’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최신 기술이 아닌 XML 기반 설정 방식을 사용하며, 모든 연동을 수동으로 진행하면서 완성본을 만들어 갑니다. 최신 버전이 보여주는 화려함을 추구하기보다는, 이미 운영 중인 시스템을 사용해야만 하는 개발자에게 적합합니다. 또한, 과거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체계적인 학습을 위한 훌륭한 지침서가 될 수 있습니다.

[목차]

[PART 1.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Chapter 01 개발 환경설정

1.1 Spring Framework 6 JDK

1.2 Eclipse IDE 설정

1.3 Spring 6 Legacy Project

1.4 Spring MVC 설정

1.5 Log4j2 설정

1.6 MariaDB 설치와 설정

1.7 Intellij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젝트 설정

 

Chapter 02 의존성 주입

2.1 의존성의 의미

2.2 XML을 이용하는 의존성 주입

2.3 @Autowired

 

Chapter 03 Spring Web MVC

3.1 스프링과 웹

3.2 컨트롤러의 특징

 

Chapter 04 MyBatis와 스프링

4.1 MyBatis와 스프링 연동 설정

 

Chapter 05 스프링 AOP와 트랜잭션

5.1 Spring AOP

5.2 트랜잭션 설정

 

[PART 2.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hapter 06 게시물 관리 분석과 설계

6.1 개발 목표 설정

6.2 화면 설계와 분석

6.3 데이터베이스 설계

6.4 화면 디자인

6.5 includes 설정

 

Chapter 07 게시물 관리 구현

7.1 VO DTO

7.2 MyBatis 준비

7.3 MyBatis를 이용하는 CRUD

7.4 컨트롤러와 화면 작성

7.5 서비스 계층의 구현과 완성

7.6 페이징 처리

7.7 동적 쿼리와 검색

 

Chapter 08 댓글과 RESTful

8.1 Ajax와 비동기 통신

8.2 댓글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8.3 댓글의 MyBatis 구현

8.4 ReplyService 개발

8.5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

8.6 게시글 목록에 댓글 개수 표시

 

[PART 3. 인증 처리와 파일 업로드]

 

Chapter 09 상품과 파일 업로드

9.1 상품과 상품 이미지 테이블

9.2 DTO Mapper 작성

9.3 컨트롤러의 파일 업로드

9.4 ProductService와 화면 구현

 

Chapter 10 스프링 시큐리티

10.1 스프링 시큐리티 역할

10.2 스프링 시큐리티 설정

10.3 인증과 인가

10.4 사용자 권한 체크

10.5 사용자 계정 처리

10.6 커스텀 로그인/로그아웃

10.7 Remember-me 자동 로그인

10.8 인증 정보의 활용

 

찾아보기